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8)
[Clean Code | 4장 주석] Day05, 06 기억에 남는 내용 코드는 결국 바뀐다. 하지만 주석은 코드가 바뀌는 속도만큼 변화를 빠르게 반영하지 못한다 그런점에서 주석을 가급적 안쓰는 것을 권장하는 모습이 인상 깊다 이전에 "프로그래머의 뇌" 스터디를 하며 다른 분과 주석에 관해 생각을 나누었을 때 그분도 주석을 가급적 안쓰는 것을 선호하셨었다 나의 경우 주석이 있는 편이 설명이 되어서 좋지 않나라는 생각과 주석이 없어도 될만큼의 깔끔한 코드를 모든 코드에서 만들어내기는 힘들었고 협업을 같이하게 될때 팀원이 그렇다고 한다면 그에 맞추기 위해 클린코드를 지향하느라 부담이 느껴지고 서비스보다 깔끔한 코드에만 신경쓰게 될거 같아서 당시에는 약간은 거부감이 들었었다. 이 파트를 읽고보니 주석을 지양하는 태도를 가지신 분들의 생각도 이해가 되었다
[Clean Code | 3장 함수] Day03, 04 ch03 함수 기억하고 싶은 부분 함수가 작을수록 더 좋다 좋다면서 5줄로 줄이는 것을 권장하는게 인상 깊다 중첩 구조가 생길만큼 함수가 커져서는 안 된다. 함수 들여쓰기 수준은 1단이나 2단을 넘어서면 안 된다. 우테코 코딩 룰이 함수당 15줄, 들여쓰기는 1단이라고 몇년 전에 들었었는데 그 방식이 떠올랐다. 함수는 한가지를 해야한다. 그 한 가지를 잘 해야 한다. 그 한 가지만을 해야 한다. 함수를 만드는 이유는 큰 개념을(함수 이름을) 다음 추상화 수준에서 여러 단계로 나눠 수행하기 위해서가 아니던가 “코드를 읽으면서 짐작했던 기능을 각 루틴이 그대로 수행한다면 깨끗한 코드라 불러도 되겠다” 함수 이름을 정할 때는 여러 단어가 쉽게 읽히는 명명법을 사용한다. 그런 다음, 여러 단어를 사용해 함수 기..
[Clean Code | 2장 의미있는 이름] Day02 기억하고 싶은 부분 " 변수나 함수 그리고 클래스 이름은 다음과 같은 굵직한 질문에 모두 답해야 한다 " "변수(혹은 함수, 클래스)의 존재 이유는? 수행 기능은? 사용 방법은? 따로 주석이 필요하다면 의도를 분명히 드러내지 못했다는 말이다" Before int d; // 경과 시간(단위: 날짜) After int elapsedTimeInDays; int daysSinceCreation; int daysSinceModeification; int fileAgeInDays; "발음하기 쉬운 이름은 중요하다. 프로그래밍은 사회 활동이기 때문이다." "전문가 프로그래머는 자신의 능력을 좋은 방향으로 상요해 남들이 이해하는 코드를 내놓는다" "의미를 해독할 책임이 독자에게 있는 논문 모델이 아니라 의도를 밝힐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