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8) 썸네일형 리스트형 [간단한 퀴즈 서비스] 무한 퀴즈 챌린지 설계 고려 문제를 틀릴 때까지 계속 문제를 제공해 주며, 몇 개 풀었는지, 도전을 몇 번 했는지를 기록한다. 고려사항 어떻게 n번째 도전과 n+1번째 도전을 구분할 것인가?구분할 고유 키 값은 어떻게 생성할 것인가?유저가 퀴즈 중간에 이탈하는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유저가 고유 키 값을 조작해서 퀴즈를 푸는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challengeId를 따로 빼두어서 조작하는 경우브라우저가 아닌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는 경우고유 키 값의 타임아웃을 어떻게 줄 것인가?mapredis고유 키가 타임아웃 난 것을 언제 판별할 것인가?무한 퀴즈 챌린지 퀴즈 api?퀴즈 제공할 때, 판별한다.퀴즈 문제를 제공할 때, 15초가 지났다면 기존 챌린지 id는 지우며, 새로운 챌린지 id로 발급해 준다.채점 api?채점에서 틀렸으면 .. [간단한 퀴즈 서비스] 퀴즈 결과 api 에러 퀴즈 결과 api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다. try catch가 있음에도 의도대로 걸러지지 않았기에 무슨 일인가 알아보았다.트랜젝션 코드에 await를 하지 않고 써서 try catch {} 구문이 있음에도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였다.await를 붙여 줌으로써 해결하였다. 런타임에 문제를 알게된 게 아쉬웠다.. [간단한 퀴즈 서비스] 회원탈퇴, 테이블 데이터 회원탈퇴 때 삭제되어야 할 데이터들이 무엇인지 고려해 보았다. user테이블에서 해당 유저 정보, score 테이블에서 해당 유저의 퀴즈 기록, solved_quizzes 테이블에서 해당 유저가 풀었던 문제들, quiz_accuracy_statistics 퀴즈 문제별 풀었던 정보(정답 횟수, 전체 시도 횟수) 등등 quiz_accuracy_statistics의 경우 전체 통계로 사용되고 개인 정보가 남지는 않기에 탈퇴한 유저의 문제 시도 횟수를 남기는 것은 괜찮다고 판단하였다.그 외에 당연하지만 user, score, solved_quizzes 테이블에서 탈퇴 유저 정보는 지우기로 하였다. 탈퇴하고서 1~2년간 데이터를 보관하고 해당 유저가 계정복구를 하면 살려두는 방식이 있다고 듣기는 하였지.. 이전 1 ··· 4 5 6 7 8 9 10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