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0)
[인프런|10강] C로 배우는 자료구조 | 전화번호부 v5.0 (1) 전화번호부 v5.0 (1) 구조체에 대한 포인터, 동적 메모리 할당 v4.0에서 구조체를 배열로 사용하였다. 배열 각 칸에 name, number 등 등 여러 변수가 저장된다. 함수를 호출할 때 넘겨주는 매개변수를 실질매개변수라고한다. 호출되는 함수에서 넘겨받는(복사되는) 매개변수를 형식매개변수라고 한다. 위 '함수 호출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복사' 그림에서 void status()에서 print_person(directory[i])를 부를 때 directory[i]가 실질매개변수가 되며 void print_person(Person p) p가 형식매개변수가 여기서 실질매개변수가 형식매개변수로 복사가 되어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구조체 배열로 선언하여 넘겨주고 받게되면 매번 함수를 호출할때마다 구조체의 항목(..
[인프런|9강] C로 배우는 자료구조 | 전화번호부 v4.0 전화번호부 v4.0 더 많은 항목, 구조체 추가 이름을 제외한 일부 항목이 누락되어도 작동되도록 한다. 추가, 검색의 경우 공백 입력이 많이 되었더라도 실제로는 공백 1개로 인식되게한다. 구조체 - 항상 같이 붙어다녀야 하는 데이터를 별개의 변수들에 분산해서 저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어떤 한 사람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이 그런 예이다. - C언어에서는 이런 경우 구조체(structure)를 사용한다.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CAPACITY 100 #define BUFFER_LENGTH 100 typedef struct person { // person은 생략가능 char *name; // 배열로 쓰기 위해 *로 선언 char *number; ..
[인프런|1.2] Linear Equations in Linear Algebra | Row Reduction and Echelon Forms 1.2 Row Reduction and Echelon Forms - echelon form / reduced echelon form echelon form: 1. all zero rows들은 모두 non zero rows들보다 아래에 있다. all zero row들은 맨 밑에 있다. 2. leading entry는 위에 row의 leading entry보다 오른쪽에 있다. *leading entry란 한 row에서 0이 아닌 entry 중 가장 앞에 있는 entry이다. reduced echelon form: 우선 echelon form 이어야한다. 3. row에서 leading entry의 값은 1이다. 4. leading entry가 있는 column에서 leading entry의 값은 1이고 그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