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

(23)
[간단한 퀴즈 서비스] Day01-03 서비스 정의, 화면설계, 퀴즈 제작 Day01 서비스 정의, 화면설계피그마를 통한 화면 설계 팀원분들이 잘 다루셨으며 이전에 경험이 있으셔서 여러 좋은 팁들을 가져오셨다 디자이너분들에게는 당연할 수 있지만 피그마 팔레트 구성,어떻게 퀴즈를 만들 것인가?open API가 있을까?어떤 주제로 퀴즈를 만들어야 할까?Day02, 03 퀴즈 제작퀴즈 api를 구하고 싶었지만 구할 수 없었으며 돈을 주어야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프로젝트를 하며 실력을 키우고 싶었기에 퀴즈 api를 작성하기로 정하였다.팀원들과 대화를 통해 어떤 퀴즈를 할지 고려했으며 한국어 기초사전 open api를 쓸 수 있으므로 단어 퀴즈를 만들기로 하였다.한국어 기초사전 open api의 경우 쿼리로 단어를 넘겨주어야 했기에 단어리스트가 필요하였다.구글링을 통해 단어 퀴즈에..
[간단한 퀴즈 서비스] Day00 프로젝트 시작, 아이디어 투표 및 선정 Day00 프로젝트 시작아이디어 회의, 투표 정의 구체화 나의 경우 이전에 하다가 멈추었던 도서리뷰 서비스를 후보로 올렸었다.다른 팀원분들은 퀴즈, 사자성어 맞추기, 레시피 공유 사이트 등의 서비스를 추천해 주셨고투표를 통해 퀴즈 서비스로 결정되었다.느낀 점서비스 분석의 필요성 사업개발, 기획자, UX/UI 디자이너들은 어떻게 일할까? 어떻게 서비스를 분석하고, 어떻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게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찾고,어떻게 사용자가 편하게 쓸 수 있게 서비스를 만들까?어떻게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아는 걸까 그리고 어떻게 그들은 소통하는 것일까?소통에는 어떤 사람들이 참여하고 얼마나 참여하는 것일까 사업개발, 기획자, 디자이너, 프론트앤드, 백앤드개발자 이렇게 참석하는 것일까?데이터 분석가도 참여할..
[책 구하기 통합 검색 서비스 ] Intro 가끔 읽고 싶은 책이 동네 구립 도서관에 없는 경우가 있다.그럴 때면 시립도서관 사이트에 들어가서 검색한다.크게 귀찮은 일은 아니지만 한 번에 검색할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왕이면 목적이 읽고 싶은 책을 가급적 돈 안 들이고 혹은 덜 들이고, 적어도 시간이라도 덜 쓰고 구하면 좋으므로 그런 부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자 한다. 전국 서비스를 하면 좋겠지만 시작은 작게해야 안치지고 꾸준히 할 수 있으므로 우선은 서울시 + 전자도서관만을 대상으로 하려한다.인근 도서관에서도 구할 수 없다면밀리의 서재, 리디북스 셀렉트 같은 구독제 서비스(가입자라면 클릭해서 검색에 반영),그 외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책바다, 책나래 (타관 도서를 1700원가량 지불하면 3주 빌릴 수 있다),..